필름바구니

바람의 노래 I


“바람 때문에 생김새가 달라진 나무가 있었다. 하지만 달라진 것은 나무만이 아니었다. 우리마저도”

[촬영기간]

2023년 6월 8일 ~ 9월 19일 (상모리 대낭굴불턱 ~ 표선면 민속해안로 수수새  촬영까지) 

[줄거리]

태풍이 예고되어 있는 제주도의 8월의 여름, 한 음악가 부부가 음악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낮은 땅에서 출발하여 높은 오름을 향해간다. 그들은 거친 바람과 진드기, 뱀 등으로 부터 자신들을 지키고자 만반의 준비를 하지만 긴장감은 사라지지 않는다.

자연과 싸우며 전진하는 그들의 여정 속에 섬의 옛 토착민들의 생활 문화를 하나씩 소개한다. 바람을 막고자 했던 초가집의 구조와 돌담과 무덤의 형태 그리고 들과 오름의 방품림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한 자연과의 투쟁은 이주민인 이 음악가 부부에게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그것은 단순한 대립적 투쟁이 아닌 하나의 융합과정이었음이 노래와 춤 그리고 독백으로 표현된다.

[촬영장비]

캐논 R5C, Mavic Classic 3, 지윤 크레인2S, Zeapon Micro2 Plus Slider, VG Slider 42″

촬영 정리 폴더

총 3개월 동안 진행되었던 촬영이었고, 생전 처음 해보았던 긴 촬영기간. 주제와 관련하여 ‘바람’이라는 천연 소재가 필요했는데 2023년도의 자연은 기꺼이 우리에게 협조적이었다.

첫 촬영, 상모리 대낭굴 불턱 (2023.06.08)

제주도의 서남쪽, 대정읍 하모리 모슬포 포구에 남겨져 있는 불턱이었다. 해안가에는 정확한 주소지가 없고, 불턱이라는게 이제는 해녀들도 사용하지 않을 뿐더러 관광객이 찾아가는 장소도 아니다보니 나는 먼저 이걸 찾아내야 했다. 마침 그날은 보슬비가 내리고 있었다.

“여보, 일단 내가 우선 해안을 둘러보고 찾아낼게. 자기는 차에 있다가 카톡하면 와~”

나는 그렇게 우산을 쓰고, 카메라 가방을 메고, 짐벌을 들고 찾아다섰다. 만일 찾게된다해도 예진이를 굳이 부를 필요까지는 없겠다 생각을 했고.

남자의 우월한 방향 감각에 의존하여 해안가를 한 방향으로  300m 가량 걸어가니까 뭐 금새 발견.  불턱을 바라보며 카메라 촬영 동선을 계획해본다. 불턱을 바라보는 낯선 이방인의 시선, 옛 해녀의 시선, 불턱과 바다의 어우러진 조망 등… 

사실 이 작품의 기획 정신은 보도적 접근이 아닌 인문학적 접근이라서 옛 해녀의 시선과 그걸 바라보는 나의 시건이 연결되어야 했다.  바람을 맞이하는 시선. (아래 영상에 음성이 없는 이유는 카메라의 마이크가 OFF 상태)

나, 이방인의 시선
해녀가 바다로 나갈 때의 시선
해녀가 불턱으로 돌아올 때의 시선
해녀들이 수천번을 바라보았을 송악산

“여보, 비는 내리고 땀은 뻘뻘 났지만 여하튼 카메라 촬영은 다 해버렸다~ 일단 와봐~”

예진이까지 비를 맞을 필요는 없다 생각해서 혼자서 카메라 씬을 찍고 나니 마침 비가 그치고, 노을은 점점 붉게 근사해지니 드디어 예진이가 올 시간. 비가 그친 덕분에 드론씬을 함께 할 수 있었다. 

‘수백, 수십년이 지난 지금, 외지에서 내려온 한 음악가가 자신들의 잊혀진 쉼터를 노래할 줄을 그녀들은 상상도 못했으리라.
하지만 나는 그녀들과 똑같은 바람을 맞고 있고, 그게 두 존재를 이어주는 끈이 아닐런지.’

2023.8.9 (물영아리)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높은 곳에 올라가기 위해 짐을 줄여야 하거나 작은 사물을 주시하는 촬영에 요긴한 것이 이 짧은 마이크로 슬라이더이다. 지폰 마이크로2 플러스(Zeapon Micro2 Plus). 전체 길이는 43cm이지만 두 막대가 상호교차 이동하는 방식이라서 54cm까지 더 이동할 수 있다.

예진이에게 물영아리 가자고 말하면 기겁을 하고 싫어한다. 정상에 있는 작은 저수지가 평소에 비가 안오면 물이 고여있지 않아서 는 볼품도 없는데 그에 비해 올라가는 길이 너무 높다고.

“아니야, 오늘은 저수지 가는게 아니고 그 아래 주변에 있는 잦성 찍으러가는 거야~”

잦성은 잦담이라고도 부르는데 한라산 중간 지대에 쌓여 있는 돌담들을 말한다. 작품 주제인 바람, 그 바람을 견뎌내왔던 돌담 중 하나.

메인 카메라였던 캐논 R5C, 얘는 암부 포착이 참 안 좋은 카메라다. 날이 어두울 때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서 대낮에 짙은 색의 사물을 찍을 때, 어두운 계곡이나 숲에서 촬영할 때 하얀 노이즈가 날뛴다. 결국 팔아버렸는데, 요즘 옛 영상들을 다시 보니까 그 거친 느낌이 오히려 매력은 될 수 있겠구나..싶기도. 그러나 나쁜 AF와 Only 8K 녹화의 지나치게 큰 기록 용량, 나쁜 배터리 효율 등을 생각하면 사서는 안될 물건. 특히, 즉, 검은돌 많은 제주도에서 암부 나쁜 카메라는 좋지 않다.

누군가 영상용으로 캐논 카메라를 추천받고 싶다면 나는 R6mk2나 R3를 추천하고 싶다…라고 말하기보다는 소니나 니콘을 추천.

아무쪼록 지난 여름, 함께 해줘서 고마왔다

2023.7.8과 8.8 (큰사슴이오름과 갑마장길)

대록산과 그 아래 갑마장길. 대록산은 쉬운 우리말로 ‘큰사슴이오름’이고, 갑마장길은 ‘뛰어난 말이 다니던 길’이다. 과거에도 ‘갑’이 Best를 의미했었다는게 재미있게 느껴진다.

우리는 평소에 유채꽃 프라자만 여러번 방문해 커피를 마시곤 했는데, 갑마장길은 이번 촬영 때문에 처음 알게 되었다. 3개월 촬영기간 동안 이곳에서의 촬영은 너무도 아름다운 추억이었다.  고달픈 우리 삶에 저런 낙원을 발견하고 맛 볼 수 없다면 우리는 과연 어떻게 견뎌낼 수 있겠는가? 

저기에 있는 풀들이 뭐냐하면 바로 억새풀들. 여름이라서 저렇게 푸르게 보이지만 가을/겨울에 다시 방문을 해보니 살 빛처럼 부드러운 갈색 위에 북유럽 여인의 하얀 머리색 같은  꽃대들이 여전히 시원한 바람 속에 춤을 추고 있었다. 더운 날씨에 50kg의 카트를 끌고 가야했던 길이었지만 예진이와 나는 저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잠시 낙원을 맛보았던 것…

작품 속에서 이 장소에 부여된 의미는 바람이 살고 있는, 저 정상을 향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작품 속에서 이 길의 종착지로 나오는 장소는 사실 저 대록산 정상이 아니고, 백약이 오름(의 중간 들판)이다.  즉, 서로 다른 두 장소이지만 영상 속에서는 마치 하나인 것처럼 연출했던 것.

사실 우리가 이런 멀티 로케이션을 구사할 줄 안게 얼마 되지 않았다. 만일 초보였더라면 정말로 저 대록산 위에서 춤추고 노래했을 텐데, 실제 저 산의 정상에는 밥 먹을데도 없더라…는 과장이고, 커피 마실 벤치가 하나 있다.

각반과 전정가위.

사실 카메라보다 더 중요한 장비다. 카메라는 없어도 우리가 죽을 일 없지만 뱀과 진드기는 뭐… 또, 제주도의 목초 가시들이 그렇게 아프고 상처를 많이 준다. 그래서 우리 카트 안에는 화원용 전정 가위도 실려 있다. 전에는 낫도 가지고 다녔지만 오히려 낫을 휘두르다가 가시에 찔리게 되고 그렇다고 정글용 장칼을 가지고 다닐 수도 없고.

작품 속에서 말하길 ‘우리는 바람과 싸웠다’라 했지만 실제 생명보험 측면에서는 뱀, 진드기, 더위 그리고 풀가시랑 싸워왔다. 아, 저 각반의 부작용은 땀으로 인한 피부병인데 예진이보다는 나에게 잘 나타난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CAPTCHA ImageChange Image